목록알고리즘 (3)
Sonji-log

간단한 알고리즘을 제한시간 내 성공적으로 풀이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증명같다.난이도가 어렵지 않다는 점만 기억나고, 실제로 무슨 문제가 나왔는지는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(작성일 기준 약 3주가량 지났기 때문). 비록 굉장히 고차원적이고 어려운 증명은 아니었지만 무언가를 받았다는 점에 집중하기로 했다.

문제 링크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627분류Heap, SJF(Shortest Job First), Priority Queue시도한 방법문제는가상의 스케줄러를 만드는 일이다.가정에서는 중간중간에 발생하는 Context Switching에 걸리는 시간이 없다고 명시되어 있으므로, 단순히 작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총합을 반환하면 된다. 문제의 핵심은 잔여시간이 긴 작업이 처리되고 있을 경우, 다른 작업들은 계속 기다리기만 해야 한다는 점이다.이 부분은 전체 turn-around time을 크게 저해할 수 있으므로, 모든 작업이 끝났을 때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을 우선해서 처리해야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.위 구조..

정의Key-Value(키-값) 쌍을 저장하고, 빠르게 데이터를 검색, 삽입, 삭제할 수 있게 만든 자료구조.해시 함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특정 key에 매핑하여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.e.g., 전화번호부(Key : Value = 이름 : 전화번호) Q1. 왜 빠른가요?A1. 해시 함수를 사용해서 키를 고유 배열 인덱스로 매핑하기 때문. 배열은 인덱스만 알고 있다면 순차적으로 탐색할 필요 없이 원하는 위치에 바로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, 검색, 삽입, 삭제에서 모두 시간복잡도가 O(1)로 동작해 빠른 속도를 보임.아래 동작원리의 기본 구조와 동작 과정 참조. 동작 원리기본 구조해시 테이블은 내부적으로 배열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한다.데이터를 해시 함수를 통해 특정 인덱스로 변환하고, 그 ..